영지식증명 새롭게 알게된 지식
아정당
2025.04.22 업데이트
조회23
스크랩0
블록체인 기술이 일상이 된 지금 '영지식증명'이란 단어 들어보신 적 있나요?
요즘 떠오르는 이 기술 단순한 암호화 기술이 아닌데요.
누구에게도 드러내지 않고 증명하는 기술로 웹3, 디지털 신원 프라이버시 보호에 핵심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기본 개념부터 장점, 단점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목차 -
1. 영지식증명 뜻 알아보기
2. 왜 지금 이 기술이 주목받을까?
3. 단점은 뭐가 있을까?
1. 영지식증명 뜻 알아보기
영지식증명(ZKP, Zero-Knowledge Proof)이란
내가 어떤 정보를 알고 있다는 사실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지 않고도 상대에게 증명할 수 있는 기술이에요.
예를 들어 “나는 비밀번호를 안다”는 걸 비밀번호를 알려주지 않고 입증할 수 있다면?
바로 그 기술이 '영지식증명'이에요.
2. 왜 지금 이 기술이 주목받을까?
갑자기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신기한 기술'이라서가 아니라
지금처럼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시대에 ‘내 정보를 숨기면서도 증명하는 기술’은
사회적 기술적 요구에 완벽하게 부합하기 때문입니다.
① 개인정보 유출 없이 인증 가능
요즘 온라인 서비스에서 가장 무서운 건 개인정보 유출이죠.
그런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이름, 주민번호, 생년월일 같은 정보 없이도 내가 성인임을 인증할 수 있어요.
- 예시:
“나는 성인입니다”라고 증명은 가능하지만 정확한 나이나 생년은 숨길 수 있는 것!
보안성과 프라이버시를 모두 확보가 가능합니다.
② 웹3, 블록체인 대중화와 함께 확산
웹3 생태계가 커지면서 탈중앙화된 서비스들이 늘고 있어요.
이런 환경에서는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는 인증이 필요해요.
지갑 간 거래에서 상대방을 신뢰하지 않아도 투표에서 투명성과 익명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습니다.
특히 zk-rollup 기술은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며 실제 운영 서비스에까지 활용되고 있어요.
③ 수수료 절감과 처리속도 향상
기존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를 체인에 기록해야 해서 수수료가 비싼데요.
그런데 ZK-rollup은 수백 건의 거래를 압축해서 한 번에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거래 병목을 해소하고 사용자는 더 빠르게, 더 저렴하게 이용 가능해요.
이 때문에 디파이 서비스나 NFT 거래소들이 속속 도입 중이에요.
④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경쟁
이미 글로벌 기업들도 뛰어들고 있어요.
Polygon은 zkEVM 개발에 수천억 투자 Consensys는 zkSnark를 기반으로
디지털 신원 증명 서비스 구축 중 이런 흐름은 곧 실생활 속에서 ZKP가 더 많이 쓰인다는 뜻이죠.
3. 단점은 뭐가 있을까?
아무리 뛰어난 기술이라도 완벽한 기술은 없습니다.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단점이 존재해요.
아직은 발전 중인 기술이기 때문에 일부 한계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① 높은 연산 비용과 리소스 소모
증명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수학 연산을 필요로 하는데요.
특히 zk-SNARKs, zk-STARKs와 같은 구조는 ‘빠르고 짧은 증명’을 만들기 위해
대량의 연산 자원(CPU, RAM)을 소모해요.
증명 생성에 수십 초 소요 일반 기기에서는 구현 어려움 서버 유지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쓰기엔 아직 기술 최적화가 부족한 편이에요.
② 개발 진입 장벽이 높음
이 기술을 구현하려면 단순한 개발 실력만으로는 부족한데요.
수학(암호학), 이산 수학 이해, 프로그래밍 언어 외에 회로 설계 지식도 필요
zkDSL 같은 특수 언어 학습 필요
따라서 일반적인 웹3 개발자라도 zk 관련 서비스 개발은 도전이 커요.
하고 싶어도 진입이 어려운 기술이라 할 수 있어요.
③ 실시간 처리에 적합하지 않음
기존 인증보다 느린 처리 속도가 문제입니다.
실시간 채팅, 게임, 영상 스트리밍 등 속도가 중요한 서비스에선 부적합
검증이 빠르더라도 증명 생성 속도가 병목이 될 수 있음
이런 이유로 대중적인 앱에서는 아직 도입이 제한적입니다.
④ 오용 가능성과 규제 문제
영지식증명의 ‘정보 숨김’이라는 특성은 역으로 악용될 위험도 존재하는데요.
일부 국가는 정보 비공개는 감시 회피라며 규제 움직임을 보이기도 해요.
하지만 이런 단점들은 기술 발전 속도에 따라 점차 극복될 수 있는 영역입니다.
도입 전에 단점을 알고 적절한 적용 분야를 선택하는 게 영지식증명을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젠 조금은 감이 오셨죠?
앞으로 이 기술은 개인 정보 보호의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니 꼭 기억하시길 바랄게요!
영지식증명, 정보, 기술, 비밀번호, 블록체인, 암호화, 웹3, 디지털 신원, 프라이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