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요소는 브랜드 별 공기청정기의 기능성 필터 탑재에 따라 상이 유해가스 :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하이드, 초산, 일산화탄소 등
해외 연구 결과, 공기 질이 10%씩 개선될 때마다 치매 발병률이 26%씩 감소된다고 합니다.
(미국 알츠하이머협회 연례 회의 연구 결과, 2021년)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와 유해 물질을 제거하여 다양한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STEP 1
평형 선택
사용할 공간에 맞춰 사용면적 확인
* 사용면적 = 적정면적, 청정면적, 적용면적
1
사용면적
제품의 사용면적 ≠실제 사용 평수
사용면적은 미세먼지 제거 성능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공간입니다.
ex)공기청정기 사용면적 50m² = 최대 15평 공간까지 사용
하지만, 공기청정기 사용면적은 한국산업 표준(KS) 기준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평수와 차이 있습니다.
즉 실제 사용할 평수는 사용면적보다 더 넉넉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KS 실험 기준 : 1시간 당 1회 환기하는 조건에서 10분간 공기청정기를 가동했을 때, 실내 입자 농도가 초기보다 50% 낮춘 면적(천장 높이 2.4m 기준)
2
사용면적 구하는 방법
실제 사용 평수 x 1.5~2
[사용면적에 딱 맞춰 사면 안되는 이유 2가지]
* 밀폐된 공간 x : 실제 생활공간은 창문, 문 등이 많아 미세먼지가 쉽게 유입됩니다.
* 최대 풍량 x : 실생활에선 소음 때문에 최대 풍량으로 가동하지 않습니다.
실제 생활공간은 공간, 풍량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공기청정기 사용면적은 실제 사용 평수보다 큰 1.5~2배가 적당합니다.
* 가정용이라면, 실제 사용면적에 1.5배
사용면적 46m² (아파트 기준)
사용면적 1배
사용면적 1.5배
사용면적 2배
미세먼지 제거율
81.7%
92.9%
92.5%
가격
약 70만 원
약 90만 원
약 110만 원
출처 : 경기보건환경연구원
가격 : LG 퓨리케어 360 플러스 기준
공기청정기 협회에서도 실제 사용면적의 150% (1.5배) 제품을 권장합니다.
먼지 제거율이 가장 높고, 가격도 합리적이기 때문에 가성비를 원한다면, 1.5배 제품을 추천드립니다.
* 외부 공기가 많이 들어오는 환경에선 2배
외부 공기가 많이 들어오는 환경에서는 실제 사용면적의 2배의 공기청정기를 추천드립니다.
창문이 많거나 단열이 안되는 건물, 문을 자주 여닫는 사업장에서는 오염된 공기가 쉽게 들어오기 때문에 더 넓은 면적을 커버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가 필요합니다.
* 120만 원 제품 1대 vs 30만 원 제품 3대
구분된 공간이라면 공간마다 제품을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공간에서 30만 원 제품을 3대 사용하면 120만 원 제품 1대보다 정화 공간을 넓히고 비용 또한 30만 원이나 줄일 수 있습니다.
120만 원 1대
30만 원 3대
📌이동식 바퀴 사용하기
개수가 늘수록 관리 비용(필터 교체, 케어 비용)이 큰 부담입니다. 약 2만 원으로, 공기청정기 1대를 여러 곳으로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EP 2
필터 성능
헤파필터, 기능성 필터 특징
1
공기청정기 필터 종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 필터
다양한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성 필터
[필터 명칭 및 역할]
명칭
역할
헤파필터
눈에 보이지 않은 미세먼지 제거
기능성 필터
프리
머리카락, 꽃가루 등 입자가 큰 먼지 제거
탈취
생활 악취, 유해가스 등 제거
항균
세균, 바이러스 등 제거
필터는 2가지로 구분됩니다. 그 중 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2
헤파필터
청정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
E11~H13 등급이면 충분
[헤파필터 등급 별 차이]
명칭
E10
E11
E12
H13
H14
U15
U16
U17
필터 밀도
풍량
가격
전기세
먼지 제거율 (0.3µm 기준)
85%
95%
99.5%
99.95%
99.995%
99.9995%
99.99995%
99.999995%
100% 제거되는 먼지 크기
>1µm
>0.5µm
>0.3µm
>0.3µm
>0.3µm
>0.3µm
>0.3µm
>0.3µm
동일 모터 사용 시 비교
먼지 제거율 데이터 : https://www.afprofilters.com/
헤파필터는 초미세먼지(0.3µm 기준) 제거율에 따라 8개 등급으로 나뉩니다.
현재 H13 필터가 가장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판매 비율 : H13 70.3% / E11 : 27.4% / 기타 2.3%)
* 필터등급,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닙니다.
먼지 제거 성능은 필터 등급과 풍량 세기로 결정됩니다. 하지만 높은 등급일수록 필터 간격이 촘촘해져 풍량 세기가 약해집니다.
[H13 필터 vs E11 필터 : 풍량/압력손실 비교]
구분
먼지 제거율
제품 규격 (HxWxD)
풍량 CMM
H13
99.97%
610x610x292
32
E11
95%
65
압력 손실 : 필터 입구와 출구 사이 압력 차
H13 필터 먼지 제거율 99.97% x 풍량 32 = 31.99
E11 필터 먼지 제거율 95% x 풍량 62 = 61.75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 실제 계산 방식과 차이가 있습니다)
H13 필터는 너무 촘촘하기 때문에 풍량이 약해지고, 총 먼지 제거량도 감소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강한 모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전기세와 소음이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가정용이라면 30% 더 저렴한 E11필터만으로 충분합니다.
* 헤파필터 형태 : 판형&원통형
판형 필터
원통형 필터
여과 면적
1
1.3~1.5
흡입 범위
180°
360°
가격
1~5만 원
3~10만 원
추천 장소
거실 구석 침실 좁은 공간
거실 한 가운데 넓은 공간
판형 필터는 단방향으로만 흡입하기 때문에 원통형보다 여과 면적이 좁고, 먼지 흡입 부분이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구석에 놓을 수 있어 공간 활용에 유리하고 약 50% 이상 저렴합니다.
원통형 필터는 모든 방향으로 흡입하기 때문에 여과 면적이 판형보다 약 45% 넓고, 여과 효과도 20~30%정도 높습니다.
3
기능성 필터
큰 먼지부터 악취, 유해가스까지 제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환기는 필수
* 기능성 필터 종류 : 프리, 탈취, 항균/바이러스 필터
필터 종류
프리필터 (펫 필터/극세필터)
탈취필터 (활성탄/숯 탈취/카본)
항균/바이러스 필터
특징
큰 먼지, 보푸라기 등 생활 먼지 차단
생할 냄새 및 5대 유해가스 제거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
바이러스와 유해균 제거
추천 환경
반려동물을 기우는 가정 먼지 진드기, 꽃가루가 많은 환경
새집, 인테리어로 인한 냄새 습하고 곰팡이가 많은 환경 요리를 자주하는 환경
청정도를 유지해야하는 시설 (학교, 병원 등)
가격
19,000원
7,000원
7,000원
가격 : 코웨이 노블 공기청정기 기준
📌기능성 필터가 있더라도 환기는 필수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하지만,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 및 화학물질은 완벽하게 걸러내진 못합니다.
이러한 기체성 물질을 줄이기 위해 적정 시간마다 환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인증 마크
CA 인증이 성능 신뢰도가 높음
인증 마크는 참고사항
* 마크가 없어도 성능이 부족한 건 아닙니다.
인증 마크는 의무가 아니며, 인증 비용과 수수료가 비쌉니다. (KC 인증은 의무)
제조사에선 인증 성능을 갖고 있더라도, 인증 마크를 굳이 안 받는 경우도 있어 인증 마크는 참고 정도로만 봐주세요.
* 국내 다수 제품이 CA 인증 획득
CA 인증은 국내에 필요한 주요 성능을 기준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CA 인증 성능 검사 기준 : 미세먼지 제거율, 가스제거, 오존 발생, 소음
[인증마크 종류 및 주요 내용]
명칭(발급기관)
주요 내용
성능검사 기준 세부사항
KC 인증 (한국산업표준)
전자제품 관련 안전/보건/품질 기준 +오존 발생 여부
오존 발생량 허용 기준 : 0.05ppm 이하
[오존 발생량 허용 기준 측정 방법] 1. 시험실 크기 : 2.5mx3.5mx3.0m 2. 공기청정기 설치 위치 : 바닥에서 75cm 3. 오존 측정기 위치 : 제품 공기 배출구로부터 5cm 4. 오존 측정 방법 : 최대 오존 값-실험 전 오존 값
CA 인증 (한국공기청정협회)
미세먼지, 가스 제거, 오존 발생, 소음량 기준
미세먼지 제거: 1.6 ~ 15m3/min 유해가스 제거: 평균 70이상 (가스 별 40이상) 오존 발생량: 0.03 ppm 이하 소음 : 45 ~ 55 dB(유량에 따라 다름)
CADR (미국 가전 제조사 협회 AHAM)
청정 공기 공급률 Clean Air Delivery Rate 3종류 오염물질 제거 기준
담배연기 : 0.09-1.0μm 먼지 : 0.5-3μm 꽃가루 : 5-11μm
BAF 인증 (영국 알러지 협회)
알레르기 물질 및 세균 제거 기준
알레르기 유발 물질
(꽃가루, 곰팡이등) 16개 항목 94가지 물질에 대한 인증
KAF 인증 (한국 천식 알레르기 협회)
호흡기 및 피부 질환 예방 효과 인증
상세 기준 공개 X
KAA 아토피 인증 (대한 아토피 협회)
아토피에 안전 제품 인증
상세 기준 공개 X
Energy Star (미국 환경 보호국 EPA, 미국 에너지부 DOE)
에너지 절약, 소비자 제품을 장려하는 미국 정부의 국제 프로그램
상세 기준 최소 2.0 CADR/Watt Smoke CADR 최소 30 CADR (무선연결을 포함한 모델을 한정으로 에너지 성능 실험 진행)
ECARF 인증 (유럽 알러지 연구재단)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차단하는 제품 (꽃가루, 곰팡이 포자, 박테리아)
85%이상 제거되는 입자 (입자 크기 0.1μm~0.3μm) 90%이상 제거되는 박테리아, 미세먼지 (입자 크기 0.5μm이상) 95%이상 제거되는 곰팡이 포자, 꽃가루 (입자 크기 3μm미만) 오존 배출량 7ppb미만 (오존 발생 장치가 있는 공기 청정기에만 해당) 최대 공간에서 95% 제거되는 3μm이상의 모든 미세입자 (약 50㎥ 공간에서 60분 이내에 제거되는 경우) (공기 정화율이 200㎥/hour미만, 32dB 이하의 소음)
STEP 3
제균, 살균 기능
음이온, UV 통해 세균, 바이러스 제거
1
음이온&UV 방식
공기청정기 내외부 세균, 바이러스를 제거
[음이온&UV 방식 특징]
음이온 제균(플라즈마 웨이브, 바이러스 닥터 등)
UV 살균
종류
원리
전자 공급을 통해 음이온 발생시켜 유해물질(세균, 바이러스) 제거
UV-C LED 파장을 공기에 직접 쏘아 세균 파괴 공기청정기 내부를 살균하여 세균 증식 방지
주의사항
오존이 발생하므로 CA 인증 추천 비릿한 금속 냄새(오존)이 느껴진다면 환기
직접 닿는 부분이 적을 경우 살균 효과 미비
2
제균/살균 효과
효과 한계가 있어 구매 시 참고만
* 음이온, UV 효과는 미미한 편
음이온 기능이 오존을 발생시켜 호흡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존을 줄이기 위해 음이온을 낮추면 살균 효과가 감소하게 됩니다.
UV 기능은 공기 중에 직접 작용하지만, 공기 속도가 빠르면 충분한 살균이 어려워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효과가 적기 때문에 구매 시 참고만 하시는 게 좋습니다.
* 실험 결과로 기능을 입증한 제품
각 제조사에선 제균/살균 기능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 음이온 제균 실험 : 이온 개수 3000개 정도만 있어도 3평에서 90% 이상 제균 (삼성 바이러스 닥터-SPI (Suoer Palsma Ion) 기준) · UV 살균 실험 : 팬 날개 3곳을 측정한 결과, 팬 99.99% 살균, 공간 내 부유세균 99.7% 살균, 바이러스 98.1% 제거 (LG 퓨리케어 오브제 컬렉션 기준)
하지만 실험 환경은 실제 환경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효과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하고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STEP 4
먼지 감지 기능
미세먼지 크기 기준으로
1
PM센서
입자 감지 성능 : PM10 < PM2.5 < PM1.0
먼지 제거 성능이 아닌 농도 감지 역할
PM 센서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며, 풍량 세기를 조절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먼지 크기에 따라 총 3가지로 구분됩니다.
[PM센서 종류]
종류
PM 10
PM 2.5
PM 1.0
감지 입자 크기
성능
미세먼지
O
O
O
초미세먼지
X
O
O
극초미세먼지
X
X
O
풍량 조절 기능
먼지 농도에 따라 자동 운전 (PM 센서 없으면 수동 조절)
2
PM 센서 고르는 방법
모든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트리플 센서
가정용으론 PM2.5 추천
* PM 센서 중 가장 좋은 트리플 센서
트리플 센서는 모든 크기의 먼지(10µm~1.0µm)를 감지하여 최적의 풍량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세밀한 조정 덕분에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가정용이라면 PM 2.5 센서 추천
센서 등급에 따라 10~30만 원까지 차이가 나기 때문에, 트리플 센서를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특히 헤파필터를 사용한다면, 센서와 상관없이 모든 크기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나만 선택한다면, 초미세먼지를 감지하는 PM2.5 센서를 추천합니다. 초미세먼지는 허파꽈리까지 침투해 호흡기 질환이나 폐암을 일으킬 확률이 높습니다.
국내외 미세먼지 환경기준도 미세먼지/초미세먼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PM2.5 센서 만으로도 실내 공기를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STEP 5
유지 비용
필터 교체 비용 / 호환필터 / 전기 요금
1
공기청정기 필터 교체 비용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해 비용 고려
공기청정기 필터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합니다.
필터는 최소 5만 원이라 유지비 측면에선 비싼 편입니다. 공기청정기 구매 시 필터 교체 비용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필터 교체에 따른 가격 비교]
사용 공간
필터 가격
교체 주기
10평 대 제품
약 50,000~80,000원
6~12개월
20평 대 제품
약80,000~120,000원
브랜드 별 필터 가격 상이
2
공기청정기 호환 필터
정품 대비 50% 이상 저렴
고장 시 A/S 어려워 주의
정품 vs 호환 필터 최저가 비교 : 삼성전자 블루스카이 3000,600 전용, FX-G100D 일체형 필터 기준
[정품 vs 호환 필터 특징]
정품 필터
호환 필터
장점
입증된 성능 및 품질
낮은 가격
단점
높은 가격
고장 시 A/S 어려움 정품보다 낮은 필터 등급 사이즈 차이로 인해 제거 효율 감소
정품 필터가 부담된다면, 호환용 필터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호환 필터는 정품 필터의 반값으로, 아주 저렴합니다.
하지만 공기청정기가 고장 날 경우, A/S 지원을 받기 어려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3
공기청정기 전기요금
효율적인 사용으로 비용 절감하기
[소비전력에 따른 전기 요금 비교]
소비전력
전기 요금 [30일]
30W
약 2,600원~6,640원
40W
약 3,460원~8,850원
50W
약 4,320원~11,060원
60W
약 5,180원~13,280원
70W
약 6,050원~15,490원
80W
약 6,910원~17,700원
90W
약 7,780원~19,910원
100W
약 8,640원~22,130원
· 1일 기준에서 24시간 동안 작동한 경우로, 사용 환경에 따라 비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비전력에 따라 매월 약 2천 원~2.2만 원 정도 부과됩니다. 사용 방식(취침 모드, 약한 풍량 등)에 따라 요금을 30% 정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STEP 6
편의기능
유용한 공기청정기 기능 총정리
1
공기청정기 관리 방법
자가 관리 & 방문 관리
나에게 맞는 방법 찾기
자가 관리(셀프 관리)
방문관리
특징
6~12개월 주기로 배송딘 필터를 스스로 관리
3~6개월 주기로 전문 매니저님이 직접 방문해 관리
관리 서비스
필터 자가 교체 방문관리 서비스 제공 (약1년에 1번씩)
필터 교체 PM 센서 점검 토탈 클리닝 서비스 세척 서비스 무상 A/S 서비스
장점
방문 관리보다 15~30% 정도 저렴
꼼꼼한 위생 관리/수리 케어 복합적 관리 가능
단점
전문가에 비해 위생 관리 미흡
방문 일정 조율 필요
SK매직, 쿠쿠전자 서비스 기준 / 브랜드,제품 별 서비스 상이
2
공기청정기 부가기능
자신에게 필요한 기능 확인
공기청정기에 탑재된 부가기능은 필수가 아닙니다.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 목적과 생활 패턴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능
탑재율
설명
필터교체 알림
60%
필터 교체 시기가 되면, 표시등을 통해 알려줍니다.
취침모드
55%
잠들기 전, 표시등이 꺼지고, 최소 풍량으로 작동합니다.
청정도 표시
57%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3~4단계(나쁨/보통/좋음)으로 실내 상태를 표시합니다.
스마트폰 앱
43%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공기청정기를 조작하거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타이머
33%
원하는 시간에 꺼지도록 타이머를 설정합니다.
이동식 바퀴
29%
하단부에 바퀴를 장착해 여러 공간을 이동하며 사용합니다.
먼지 농도 표시
36%
실내 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합니다.
터치 컨트롤
34%
원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로 터치하며 사용합니다.
리모컨
29%
장거리에서도 조작이 가능합니다.
조도 센서
17%
실내 조도를 감시하여 디스플레이 밝기를 조절합니다.
클린 부스터
16%
상단 토출구 위에서 바람을 발생시켜 오염된 공기흡입의 속도를 높여줍니다.
펫모드
15%
바락에 가라앉은 반려동물의 털을 효과적으로 흡입합니다.
무풍청정
11%
찬바람이나 소음없이 청정모드로 작동합니다.
바이러스 제거
11%
이온이나 살균으로 바이러스를 제거합니다.
대화형 알림
11%
제품 동작 상태나 필터 교체 시기를 대화형으로 안내합니다.
환기 알림
0.7%
유해가스로 인해 집안 공기가 나빠졌을 때 환기시점을 알려줍니다.
필터 세이버
1%
정전지로 필터의 먼지 막힘을 방지합니다. (필터수명 최대 2배 연장가능)
TVOC 센서
0.5%
냄새물질이 원인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합니다.
UV 살균
23%
자외선/UV를 통해 필터나 제품, 주변 공기를 살균합니다.
어린이 잠금 버튼
51%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을 잠금 설정 합니다.
무드램프
8%
야간에도 쉽게 사용하도록 LED 조명을 비춰 작동 상태를 알려줍니다.
디스플레이
27%
내장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동 상태나 필요한 조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줍니다.
필터수명표기
8%
필터의 남은 수명을 게이지로 표시합니다.
STEP 7
공기청정기 구매 vs 렌탈
공기청정기 어떻게 사야 유리할까?
1
3년 사용시, 구매 vs 렌탈 총비용
[쿠쿠전자] W8200 타워형 공기청정기 AC-25W10FW
자가관리(셀프관리) 방식
구매
렌탈 3년 약정 (5년 만료)
구매 관리 비용 (+)
네이버 최저가
799,000만원
X
월 렌탈비 (제휴카드 사용시)
X
월 27,810원 (월 13,900원)
필터 교체 (네*버 쇼핑 23년 12월 기준)
1년 무상 이후 정품 64,200원/1년 호환 45,800원/1년
계약기간 동안 무상 (1년 1회 케어 서비스 제공, 정품 필터 교체)
멤버십(케어서비스)
X
혜택 소유권 (-)
현금 사은품
X
약 6만원
중고 판매 시 (중*나라 23년 11월 기준)
100,000원
X (약정만료 후 반납/소유권 없음)
최종 비용 (제휴카드 사용시)
(정품 필터 시) 약 82만원 (호환 필터 시) 약 79만원
약 94만원 (약 44만원)
해당 사항은 2023년 하반기 기준에 근거하였습니다.
제휴카드는 월 30만 원 달성 시 할인받는 비용이며, 프로모션에 따라 혜택사항이 상이합니다.
2
5년 사용시, 구매 vs 렌탈 총비용
[쿠쿠전자] W8200 타워형 공기청정기 AC-25W10FW
자가관리 방식
구매
렌탈 5년 약정 (5년 만료)
구매 관리 비용 (+)
네이버 최저가
799,000만원
X
월 렌탈비 (제휴카드 사용시)
X
월 21,510원 (월 4,510원)
필터 교체 (네*버 쇼핑 23년 12월 기준)
1년 무상 이후 정품 64,200원/1년 호환 45,800원/1년
계약기간 동안 무상 (1년 1회 케어 서비스 제공, 정품 필터 교체)
멤버십(케어 서비스)
X
혜택 소유권 (-)
현금 사은품
X
약 12만원
중고 판매 시 (중*나라 23년 11월 기준)
60,000원 (소유권 이전)
최종 비용 (제휴카드 사용시)
(정품 필터 시) 약 106만원 (호환 필터 시) 약 97만원
약 111만원 (약 9만원)
해당 사항은 2023년 하반기 기준에 근거하였습니다.
제휴카드는 월 30만 원 달성 시 할인받는 비용이며, 프로모션에 따라 혜택사항이 상이합니다.
* 렌탈이 유리한 경우
제휴 카드를 사용하면 렌탈이 더 유리합니다. 일부 제품은 한 푼도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현금 사은품도 받을 수 있습니다. 약정 만료 후 새 제품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위생적인 면에서도 장점이 있습니다.
공기청정기는 중고가 방어가 어려워, 많은 경우 렌탈이 더 경제적입니다.(3년만 사용해도 중고가 10~20% 수준으로 떨어짐)
* 똑같은 100만 원이라도, 렌탈은 구매보다 9만 원 저렴합니다.
나눠서 렌탈요금을 내는 것이 일시불로 내는 것보다 약 9% 저렴합니다.(현재가치 변환 후 비교 시)
(PV 재무 함수 사용, 5년 이자율 4% 기준)
* 무조건 렌탈이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멤버십을 무상 제공하는 제품이라면, 공기청정기 렌탈보다 구매가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STEP 8
공기청정기 렌탈, 꼭 기억해야 할 2가지
가전 렌탈 호구 안 당하는 기준 총정리
1
렌탈 지원금, 사은품
본사가 주는 판매수당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합법
* 약정 끝나고 가만히 두면, 30만 원 손해
약정이 끝났다면, 기존 요금 그대로 사은품 받고 새 제품으로 교환하는 게 좋습니다. 위생에서도 좋고, 월 렌탈비에 멤버십이 포함되기 때문에 비용에서도 유리합니다.